인터넷 보안 관리사 리눅스 요점정리 - 계정 설정
계정 설정
리눅스에는 계정 설정정보가 담긴 파일이 있는데
바로 /etc/passwd 파일이다. /etc/passwd 파일을 열어보면
이런 화면을 볼수 있다.
한줄당 한 게정의 정보를 말하고 있는데
맨 위에 있는 root 계정으로 짧게 설명을 하자면 ..
root: x: 0: 0: root: / root: /bin/bash
계정 ID: 비밀번호: UID: GID: 사용자 정보: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 사용자 로그인 쉘:
계정정보는 기본적으로 7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는데 : (콜론) 을 중심으로 1필드씩이라고 생각 하면 됨
첫번째 필드에는 계정 ID
두번째 필드에는 비밀번호
root 비밀번호 필드에보면 x라고 되잇는데 이건 암호화 설정을 해서 /etc/shadow 파일에 암호화 된 형태로 저장되어있다는 소리
세번째 필드와 네번째 필드에는 UID GID
UID는 특정 사용자를 나타내는 고유 숫자
GID는 특정 그륩을 나타내는 고유 숫자
참고로 root의 UID와 GID는 0이다.
다섯 번째 필드에는 사용자정보
이름이나 연락처를 적는 란이라고 보면 된다.
여섯번째 필드에는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
사용자가 계정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경로명이라고 보면 됨
root는 관리자 계정이기 때문에 계정 디렉토리가 /root임
윈도우에서 폴더는 리눅스에선 디렉토리
일곱번째 필드에는 사용자 로그인 쉘
리눅스에는 쉘이란게 있는데 컴퓨터에서 사람이 명령을 내리면 쉘이 처리를 해준다
좀 몇가지 예를 들면 bash csh zsh 이런 쉘이 있는데 이외에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
어쨋든 일곱번째 필드는 쉘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경로라고 보면 된다.
'🎖️ IT Certificate > 인터넷보안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보안 관리사 - 리눅스 파일속성 추가 설정 예시문제 (0) | 2016.07.21 |
---|---|
인터넷 보안 관리사 - 리눅스 계정설정 예시문제 (0) | 2016.07.19 |
인터넷 보안 관리사 - 리눅스 vi에디터 기본적인 사용법 (0) | 2016.07.19 |
인터넷 보안 관리사 시작하기 전에 (2) | 2016.07.19 |